1. 버전관리시스템(VCS)

1) 버전 관리 시스템(Version Control System, VCS)은 소프트웨어 개발과정에서 파일 및 프로젝트의 변경사항을 추적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여러 개발자들이 동시에 작업을 하고, 파일을 공유하며 변경 내용을 추적하고, 이전 버전으로 돌릴 수 있음.

 

2) 혼자서 개발을 하는 경우, 잘돌아가던 파일이 변경 사항을 적용한 후로 실행이 안 되서 이전 상태로 돌리고 싶거나 컴퓨터 하드가 날라갔거나 하는 문제에 대해 버전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면 쉽게 해결 가능

 

3) 함께 개발을 진행하는 경우, 공식적인 코드를 기록해놓을 수도 있고, 하나의 프로젝트에 개발 파트를 나누어 개발을 하는 경우, 누가 어떤 코드를 수정했는 지에 대해 알 수 있고, 각자 개발한 코드를 합칠 수 있고, 버전별로 개발이 가능

 

 

2. git 

버전 관리 시스템 중의 하나로,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의 버전을 관리하고 추적하는 도구

 

Working Directory : 파일 수정, 저장 등의 작업을 하는 디렉터리

 

Staging Area : commit을 하기 전 파일이 대기하는 곳, 일종의 buffer

 

Local Repository : Staging Area의 파일을 버전으로 만들어 저장하는  repository ex) git

 

Remote Repository : Staging Area의 파일을 버전으로 만들어 원격으로 저장하는 repository ex) github

 

pull과 clone의 차이 : pull은 원격 저장소의 변경 사항을 가져와서 merge 한 것, clone은 원격 저장소의 내용을 그대로 복사해온 것

 

 

3. git 설치

## apt 업데이트
$ sudo apt update

## git install
$ sudo apt-get install git

## git에서 사용할 name과 email 설정
$ git config --global user.name "사용자 이름"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사용자 이메일"

## git setting 확인
$ git config --list

 

4. git init부터 commit까지

1)  git init 

 

2) ls -al : init git  생성 확인

 

 

3) git 상태 확인 - main branch에 존재하고, commit 한 게 없다는 뜻

 

4) git add : 파일 생성 후 add  

 

new file로 staging Area에 test파일이 올라간 것을 볼 수 있음.

 

5) git commit -m "메세지" :  commit을 할 때 메세지를 남김

 

+ Recent posts